본문 바로가기
낙후한 중소기업 밀집지역 지능화(스마트화) 통해 스마트혁신지구 조성
이종수 기자|jslee0505@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낙후한 중소기업 밀집지역 지능화(스마트화) 통해 스마트혁신지구 조성

선정 지역 매년 20억 원씩 2년간 국비 40억 원 지원

기사입력 2021-05-06 14:32:1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낙후한 중소기업 밀집지역 지능화(스마트화) 통해 스마트혁신지구 조성

[산업일보]
중소기업 밀집지역은 지역 제조업 생산·고용에 큰 비중을 차지하며 지역경제의 중추 역할을 해왔으나 4차산업혁명,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지역주력산업 성장 둔화, 지능화(스마트화)·친환경화·융복합 등 환경변화에 대응이 부족한 편이다.

특히 정부 지원이 미흡한 공업지역 등 낙후 중소기업 밀집지역의 경우 기반(인프라) 부족, 기업이탈 등으로 쇠퇴가 지속되고 있으나 기존 기반(인프라), 영업 여건 등으로 인해 타 지역 이전이나 밀집지역에 대한 자체 정비가 어려운 상황이 지속됐다. 산단 외 공업지역은 286㎢(전국 공업지역 면적의 27%)로, 정부 기반 지원의 사각지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낙후한 중소기업 밀집지역을 지능화(스마트화), 친환경화 등 기반(인프라) 지원하는 지역균형뉴딜 촉진사업이 한창인 가운데, 정부는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사업(이하 스마트혁신지구)’ 대상지 2곳을 선정하기 위해 다음달 25일까지 공모한다.

6일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에 따르면, ‘스마트혁신지구’는 올해 처음 시작하는 사업으로 낙후된 중소기업이 밀집한 지역에 개별기업이 구축하기 어려운 공동 활용 지능화체제(스마트플랫폼) 조성을 지원한다.

스마트혁신지구는 중소기업 밀집지역에 민간(앵커)기업의 투자를 전제로 제조혁신 지능형(스마트) 체제(플랫폼), 지능형(스마트) 인공지능(AI) 물류, 기업 공동 활용공간, 친환경 공동 기반(인프라) 등 지역기업에 필요한 공동활용 체제(플랫폼) 조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중기부는 올해 2개 지역을 선정한다. 지자체는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 민간과의 협력체(컨소시엄)를 구성해 신청하면 된다. 사업신청 대상은 광역지자체다. 신청 지역이 기초지자체 단위인 경우 광역-기초지자체 간 공동주관기관으로 참여도 가능하다.

중기부는 선정된 1곳당 1년에 20억 원씩 2년간 4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지자체가 국비에 지방비를 매칭하고 공동활용 지능형(스마트) 체제(플랫폼)를 조성하게 된다.

스마트혁신지구 최종 선정지역은 중소기업 관련 전문가, 도시계획과 입지 전문가 등으로 구성한 평가위원회의 평가를 거쳐 7월 발표 예정이다.
다아라 온라인 전시관 GO
부동산부 이종수 기자입니다. 지식산업센터, 공구유통상가, 공장, 토지 등 산업 부동산 분야의 알토란 같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